지구의 온난화를 지구 복사 평형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요즘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어요! 밖에 나가보면 햇빛이 따뜻할때 벌써 반팔차림으로 다니는 사람들도 보여요~!
이번 여름도 굉장히 더울꺼라고 해요! 먼저 오늘 우리가 공부할 내용과 관련된 만화부터 볼께요!
지난 시간에 배운 것처럼 대기의 존재로 인해 지구는 달보다 평균 기온이 높게 나타납니다. 이를 온실 효과라고 한다고 배웠죠!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라고 할 때, 약 30%는 우주로 반사되고, 70%는 지구로 흡수됩니다. (대기와 지표에서 반사 30%, 대기에 20%흡수 + 지표에 50% 흡수) 지구는 흡수한 것과 같은 양의 지구 복사 에너지(70%)를 우주로 방출(지표가 방출 4%+ 대기와 구름의 방출66%)하여 복사 평형을 이루는데, 이 과정에서 지표가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일부가 대기에 흡수되었다가 다시 지표로 방출(대기의 재복사)되어 온실 효과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지구의 평균 온도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얘기나 뉴스는 많이 들어봤죠?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해요!
아래 그래프는 100년 동안의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온도 변화예요!
한 눈에 봐도 조금씩 온도가 상승하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아닌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도 볼까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의 평균 기온도 자꾸 높아지고 있네요! 왜 그럴까요? 다음 그래프에 비밀이 있어요!
그래프를 보면 지난 시간에 배운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 기체인 이산화 탄소와 메테인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죠?
그래요! 지구는 대기 중에 증가한 온실 기체의 영향으로 더 높은 온도에서 복사 평형이 일어나
지구의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있어요! 이것을 지구 온난화라고 해요!
지구 온난화는 우리에게 영향을 줄까요?
온실 기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내용구성: 이상혁 선생님 대구 창의융합교육원